● 오늘의 포옹:
 1️⃣ 아빠 -딸
        ㄴ 오늘 엄마는 회식!  내일도 회식! 

 
● 포옹 기록과 느낀 점/배운 점:
 1️⃣ 아빠 -딸
  (포옹 기록)
 
아빠는 6시 30분쯤이면 집에 오신다.
오늘 집에 들어오는 아빠는 즐거운 느낌이다.

사실
아빠가 티를 안내려고 해도,
아빠가 집에 처음 들어와서 풍기는 분위기만 느껴도,
오늘 아빠가 힘이 있는지, 기분이 좋은지, 슬픈지, 우울한지가 느껴진다.
 
오늘 하늘은 맑음 🌞
 
엄마가 회식이셔서 둘이 밥을 먹었다.
아빠 계란 후라이도 해드리고, 시레기 고등어찜도 데우고, 된장국도 데우고,
무우 나물, 고추 찜, 봄동 겉절이... 있는 거 다 내놓아서 차려드렸다.
 
괜히 아빠한테
아빠 ~ 어제 먹다 남은 뽈때기탕 있잖아~ 빨간거, 그거 드실려 아니면 된장국 드실려
계란후라이 드실겨~ 2개? 인당 1개씩?
아빠 아직 고등어찜 안먹어봤지. 이것도 있는데 데워줄게
한참 얘기하며 상을 차렸다.
 
나도 괜시리 기분이 좋아서였다.
 
아빠가 괜히
아빠: "윤희야 사는게 행복하지 않니?"
아빠: "윤희야 고맙다~"
하시는데 어제 나의 포옹 효과인가 크크 라고 혼자 상상의 나래를 펼치며
기분이 좋았기 때문이다.
 
사실 아빠가 행복하면 나도 기분이 좋다
아빠가 슬프면 나도 슬프다
 
고등어 가시도 열심히 발라드렸다.
딸: 나 너무 믿지는 마 ^^ 가시 걸릴 수 있어
아빠: 응 그래서 혀로 열심히 확인하고 있어
.
.
오렌지도 까먹고 한참을 뜸을 드렸다
참 이상하게, 아니지 참 당연하게
안하던걸 하려니 누가 날 자꾸 잡아땡기는 것처럼
행동하기가 참~ 힘들다
.
.
아빠가 씻으러 갔다온 사이에 카드를 만들었다. 
어제 엄마랑 했던 활동을 단순화했다.
엄마에게 책에 나온 욕구 목록에서 키워드를 고르게 했었는데, (아래 좌측 사진)
엄마가 단어가 너무 많아~ 라고 한 것도 생각나고,
아빠는 엄마보다 힘들어하실게 분명해서
좀 더 아빠가 직관적으로 보고 이해하실 수 있게 카드를 만들었다. (아래 우측 사진)
 
(카드 내용)
· 편안함 - 건강 쉬기 잠 안전함
· 존중- 인정받기, 자존심, 믿어주는 느낌
· 의미- 마음이 뿌듯한 일, 누군가에게 도움되기
· 사랑- 가족, 따뜻한 말, 마음 나누기
· 혼자만의 시간- 조용히 있기, 내 방식대로 하기
· 재미- 웃을 일, 새로운 거 해보기

 
딸: "아빠 내가 카드 6개를 만들었어. 이 중에 요즘 아빠한테 가장 와닿는게 뭐야? 음 어떤게 끌려?"
 
아빠: 하나씩 읽어보시는 중....

 
딸: (와 무슨 돌잡이 하는거 같다... 사랑? 가족을 고르려나 ㅎㅎㅎㅎㅎㅎ)
아빠: 존중, 인정받기, 자존심, 믿어주는 느낌. 
딸: 왜?? 왜 골랐어~?
아빠: 나는 개미니까.
딸: 응??
아빠: (재미 카드를 가르키며) 저기 재미라고 써있잖아. (말돌리기....)
.
.
딸: 아빠 나도 물어봐줘 뭐냐구
아빠: 뭐~~~ 어떻게 하는거야 ㅋㅋㅋ
딸: 그냥 얘기할게 ㅋㅋㅋ 나는 사랑~
아빠: 그치 가족은 사랑이지
.
.
딸: 아빠 이제 우리 서로 원하는게 뭔지 알았으니까~ 서로 짧은 멘트 써주자
아빠: 뭐라고 써야 되나
딸: 그냥 사랑한다고 해
아빠: 그래 ~ 사랑합니다.
.
.
딸: 아빠 이제 우리 얘기해주면서 안아주자~~
아빠: 그래 정말 사랑합니다
딸: 아빠 덕에 세상이 재미있는 곳이라고 믿는 어른으로 자랄 수 있었어. 나의 든든한 나무가 되어줘서 감사합니다.
.
.
딸: 아빠 우리 내일 또 할까?? 어때??
아빠: 내일 일은 내일 얘기합시다
.
.
딸: 오늘 소감은요? 한 줄 써줘.
아빠: 정말 아름답다.
.
.

 
 
 (느낀 점/배운 점)
- 아빠한테 예쁘고 아름다운 말을 더 많이 해드려야겠다 생각했다. 아빠가 주무시러 가는데 콧노래를 불러서 참 행복했다.
- 아빠의 말은 길지 않다. 화려하지 않다. 섬세하지도 않다. 그런데 아빠의 말은 울림이 있다.
내가 기억하는건 말과 아빠의 눈에 담긴 마음이기 때문일테지.
 
   언젠가 
   .
   .
  ㄴ 아빠가 갑자기 설거지를 하시다가, 딸 이렇게 부르시고 참 예쁘다. 하시는데 그 순간을 잊을 수가 없다.
  .
  . 
  또 언젠가
  ㄴ 아빠 우리 같이 탁구도 치고 그동안 참 행복했지? 하니, 앞으로도 매일 행복할거야. 라고 하셨다.
 
- 준비시간 5분, 진행시간 5분 총 10분. 얼마나 많은 머뭇거림이 이 소중한 10분을 머물게 했는가.

+ Recent posts